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도덕 4단원. 공정한 생활 - 1. 공정한 생활에 대해 알아보아요

 

 

6학년-도덕-4단원-1차시

-공정의 의미와 중요성

 

 

 이 차시에서는 생활 속의 공정과 관련된 모범 사례를 보며 공정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을 마련했어요.

 

더불어 공정한 생활을 실제로 구현해 가려면 무슨 노력이 필요한지 깊이 생각해보도록 해요.

 

 

 

 

 공정이란, '공평하고 올바름'입니다.

 

공정의 의미 속에 포함된 공평이란,

 

'어느 한 쪽으로 기울지 않고 공정함'입니다.

 

공평의 의미속에 공정도 들어가지요.

 

공정/공평은 서로 연관된 의미라는걸 짐작할 수 있네요.

 

 

 

 

교과서 도입 부분을 잘 읽고 아래 내용을 노트 필기하세요. 이미 배운 내용이어도 다시 한 번 노트 필기하며 공정에 대해 생각해봅시다.

<노트에 필기할 내용>

 

* 공정의 의미 : 어느 한 쪽으로 기울지 않고 공평하고 올바름.

 

 -교환적 정의로서의 공정 : 개인 대 개인 사이의 동등한 대가적 교환 → 예) 커피 생산자와 커피 판매자 간의 거래

 

 -분배적 적의로서의 공정 : 인간의 개인적 차이를 인정하고 이에 응하여 명예와 재화를 공정하게 분배하는 것

                                   → 예) 국가와 국민의 관계를 비례적으로 조화시키는 것, 어려운 국민 지원금 배부

 

- 시정적 정의로서의 공정 : 상호 교환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시정해주는 것

                                   → 예) 불공정한 일에 대해 법원이 가해자에게 벌을 주는 판결을 내리는 것

 

 

 

필기했나요? 글씨를 바르게 적었는지 확인해보세요. ^^

 

이제 교과서 80쪽에 나온 '어떤 축구 경기 이야기' 영상을 보며 축구 심판의 공정한 자세에 대해 생각해보도록 할게요.

 

아래 유튜브 링크를 열어서 보세요. (이미 본 친구는 미안하지만 한 번 더 보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sbr5P8xatIo&feature=emb_title

 

 

81쪽은 모둠 활동이라서 온라인 수업에서는 하기 어렵죠. 책 내용을 읽어보고 넘어가겠습니다.

 

위의 영상에서도 보았듯이, 공정함은 정의에 포함되는 내용이에요. 정의로운 사람이라면 당연히 공정해야겠죠?

 

여기서 잠깐, 여러분은 혹시 김연아 선수를 아시나요?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 당시 김연아 선수는 모든 사람들이 극찬할 정도로 멋진 연기를 펼쳤고

 

점수가 나오기 전까지 금메달은 물론 세계 신기록이 나올 거라고 기대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올림픽 주최국이었던 러시아의 편파 판정으로 인해서 김연아 선수는 은메달을 목에 걸어야 했습니다.

 

금메달은 말도 안되게 후한 점수를 받은 러시아 선수에게 돌아갔습니다.

 

이 사건은 여러 나라에서 문제를 제기했을만큼 부당하고 정의롭지 못한 사건이었습니다.

 

여러분이라면 어떤 생각이 들었을까요? 자국의 선수에게 실력보다 후한 점수를 챙겨주는 것이 정의로운 일일까요?

 

 

 

자, 이제 아래 내용을 노트에 필기하세요.

 

<노트에 필기할 내용>

 

* 공정과 정의

  - 정의의 포괄적 개념 안에 공정이 포함된다. 공정을 이야기 하면서 정의를 말할 수 있는 이유가 바로 정의의 포괄적 개념 속에서 공정을 연관 지을 수 있기 때문이다. 공정을 이야기할 때에 정의는 그 개념의 일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공정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 생각해보았으니, 공정한 생활이 중요한 까닭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공정한 생활이 중요한 까닭에 대해 알아보는 것은 '임금 차별에 화내는 카푸친 원숭이'영상을 보고 생각해볼게요.

 

아래 링크 영상을 보고 오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llQSJ6GLNwM

 

 

 한 쪽만 생각하느라 다른 쪽이 피해를 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은 공정, 공평, 정의에 어긋나지요.

 

그래서 공정함은 중요합니다.

 

공정한 사회에서만이 우리는 서로 존중받는 느낌을 받게 되고, 함께 노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공정한 세상을 만들기 위한 노력은 우리나라 헌법에도 기록되어 있습니다.

 

교과서 83쪽에 나와 있는 대한민국 헌법 제11조 제1항을 보면,

 

모든 국민은 법 앞에 평등하다.

누구든지 성별, 종교 또는 사회적 신분에 의하여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생활의 모든 영역에 있어서 차별받지 아니한다.

 

라고 되어 있습니다.

 

헌법은 우리나라 법 중 가장 상위법입니다. 대한민국의 모든 가치가 이 헌법을 기준으로 정해집니다.

 

이러한 헌법이 평등을 중요한 원칙으로 내세우면서 평등과 공정을 실현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들도 생활 곳곳에서 누군가의 행복을 위해서 누군가의 행복을 뺏는 일이 없는지 살펴봤으면 합니다.

 

누군가가 좀 더 빨리 식사를 하려고 먼저 온 사람을 제치고 밥을 타는 것,

 

회장이 친한 친구에게 기회를 더 주기 위해서 다른 친구들은 무시하고 친한 친구만 시키는 것,

 

잘못이 있을 때 자기가 좋아하는 사람을 야단치기 싫어서 만만한 사람에게 책임을 떠넘기는 것은 부당한 일들입니다.

 

여러분은 생활 속에서 그런 부당한 일을 당한 적이 없는지 살펴보길 바랍니다.

 

그런 일들이 있을 경우 노트에 자기의 경험을 적어보고, 그럴 때 내가 어떻게 항의해야 할 지 써보길 바랍니다.

 

혹시라도 내가 그런 행동을 했다면 앞으로는 어떻게 해야 할 지도 써보길 바랍니다.

 

 

 

오늘은 공정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오늘 과제는 선생님이 강조한 필기 부분을 노트에 잘 적어두는 것입니다.

 

위를 올려보면 파란색으로 표시된 부분! 꼭 적어두세요. 수고하셨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

 

 

 

 

 

 


자료 출처 : 도덕 6 교과서 / 도덕 6 교사용 지도서 / 유튜브 링크 상단 기재 / 인디스쿨 디딤돌_1706886